차상위계층이란?
‘차상위계층’은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 소득 단계의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구를 뜻합니다.
즉, 기초생활수급 기준까진 아니지만 생활이 곤란한, 중위소득 50% 이하 가구에 해당합니다
이 제도는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중요한 안전망이기도 합니다.
2025년 차상위계층
✔ 소득 인정액 기준 (중위소득 50%) 이하 해당이 되며,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차상위계층 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
✔ 재산 기준
대도시(서울,수도권) : 1억 8,800만 원 이하
중소도시 : 1억1,800만 원
농어촌 지역 : 1억 원 이상
✔ 금융재산 및 부채 기준
은행 금융권 재산은 2,000만 원 이하인 경우 지원 가능
부채는 일정 기준 수준 초과 시 감안하여 심사 진행
✔ 자동차 기준
배기량 2,000cc 미만, 차량 연식 10년 이상, 차량가액 500만원 이상
즉, 자동차를 가지고 있으면 차상위가 되기 어렵다고 보시면 됩니다.
신청 절차 및 준비 서류
✔ 신청 방법
* 온라인방법 : 신청방법은 온라인에서는 복지로 또는 정부24시에 들어가서 로그인 하셔서 신청이 가능합니다.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.
* 오프라인방법 :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신 분은 거주지 읍,면,동 행정복지센터에 오셔서 방문 접수를 하시면 됩니다. 신청서와 개인정보 동의서가 필요하며 두개의 서류는 행정복지센터에 비치 되어 있습니다. 그리고 필요한 준비물이 있는데 서류 준비물은 아래와 같습니다.
✔ 필요 서류
* 신분증, 가족관계증명서
* 소득 증빙: 급여명세서, 소득증명서
* 재산 증빙: 부동산, 자동차 등록증, 임대차계약서
*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, 통장 사본 등
차상위 혜택
✔ 생계 지원 혜택
* 아동 급식비: 월 15만원 지원
* 양곡 할인: 정부 쌀 20kg 약 90% 할인, 10,000원 구매
* 푸드뱅크·푸드마켓: 기부식품 지원
* 영양플러스: 건강보조식품 정기지원 (우유, 계란 등)
✔ 의료비 경감 혜택
수급자 및 차상위 분들이 혜택 중 가장 많이 혜택 중 하나가 의료기 경감일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.
경감 혜택은 아래와 같습니다.
* 건강보험 본인부담 해택: 외래·입원료 14% 부담으로 경감
* 고액 수술비(삽관, 관절) 및 재난적 의료비 최대 80% 지원
* 건강검진비 전액 지원
✔ 교육 지원 혜택
* 학교교육비(초·중·고): 급식·교복·방과후 학습비 일부 지원
* 초중 급식비, 고교 교복비 포함)
* 국가장학금Ⅰ유형: 대학생 등록금 최대 520만 원~700만 원
* 평생교육 바우처: 성인 대상 연 35만 원 지원
✔ 주거 지원 및 공공임대주택
* 임대주택 우선 공급 (영구·매입·전세형) & 월세 최대 80% 지원
* 에너지 바우처: 계절별 최대 71만 원 전기·가스비 지원
✔ 통신·전기·가스·교통 요금 할인
* 통신비 감면: 월 기본료 1,00원~11,000원 감면, 35% 통화료 할인
* 전기요금: 월 최대 8,000원~10,000원 절감
* 도시가스 요금: 겨울철 최대 148,000원 감면
* 교통비: 어르신 교통비 카드 할인, 일부 지역 무료
✔ 문화·체육·평생교육 바우처
* 문화누리카드: 1인당 연 110,000원~140,000원 지원
* 스포츠강좌 바우처: 월 105,000원 체육 활동 지원
* 평생교육 바우처: 성인 대상 연 350,000원
✔ 자활근로·자산형성 지원
* 자활근로사업: 공공·사회서비스 및 인턴직 가능
* 내일키움·희망저축계좌:
* 일정 금액 저축 시 정부가 매칭 지원 (예: 6개월 후 50만, 1년 후 100만 원 추가)
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방법
* 복지로 → 증명서 발급 메뉴 → ‘차상위계층 확인서’ 클릭 → 인증 후 발급
* 정부24 에서도 온라인 발급 가능
자격 유지 및 이의신청
* 자격은 매년 갱신, 소득·재산 변동이 있는 경우 자동조사
* 결과에 불복할 경우 주민센터에 이의 신청 가능
Q&A
* Q: 중위소득과 소득인정액 차이는?→ 소득인정액 = 실제소득 + 재산소득환산액. 중위소득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* Q: 재산이 많으면 소득이 낮아도 제외되나요?
→ 예. 재산이 기준 초과 시 자격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
* Q: 혼자 사는 1인 가구도 가능한가요?
→ 네. 1인 가구 기준(1,196,007원 이하)을 충족하면 신청 가능합니다
마무리 및 실천 팁
* 내 가구 소득·재산부터 정확히 체크하세요.
* 온라인(복지로) 모의계산을 활용해 자격 예상.
* 필요 서류 미리 준비 후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.
* 매년 갱신을 놓치지 말고, 자격변경시 즉시 신고하세요.
이 글이 ‘2025년 차상위계층’ 제도를 정확히 이해하고, 신청부터 혜택까지 놓치지 않고 챙기시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!